-
PiNetWork PiCoin 파이네트워크 파이 스텔라코인(Stellar) 프로토콜 17업그레이드PINetWork 2022. 6. 23. 15:59반응형
스텔라코인은 파이와 연관성이 있죠, 공식적으로 어떤 파트너쉽을 맺었다고 볼수는 없지만, 파이는 스텔레에서 포크가 된 네트워크는 맞습니다. 같은 SCP알고리즘을 사용 하니 말이죠 그래서 스텔라를 이해하면, 어느정도 파이를 이해할수 있다고 생각 하는데요 오늘은 스텔라 코인의 프로토콜 17 업그레이드에 대해서 한번 공유하는 시간을 갖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내용은 스텔라 공식 블로그를 참고)
※ 스텔라 프로토콜 17 업그레이드 완료
2021년 6월 1일 성공적으로 완료 되었다고 합니다. 프로토콜 17은 머니마켓 펀드, 채권 주식과 같은 규제 대상 금융 상품을 발행하는 기업이 특정 상황에서 자산을 회수 할수 있는 능력을 보여줌으로써, 규제 요건을 준수 할 수 있도록 설계된 자산 회수 라는 새로운 기능 이라고 합니다. 이 부분은 CBDC에도 중요한 부분이기 떄문이다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요약 : 기존의 실물 화폐와 달리 가치가 전자적으로 저장되고, 이용자간의 자금 이체 기능을 통해서 지급 결제가 이루어지는 화폐를 말한다. 이는 민간에서 발행하는 가상화폐와 구별되는 법정 통화로써 실물 화폐와 동일한 교환비율이 적용되어 가치 변동의 위험이 없고 중앙은행이 발행함으로 화폐의 공신력이 담보 됨
CBDC란 앞서 말씀 드린것 처럼 중앙은행 디지털화폐로 기존의 실문 화폐와는 달리 가치가 전자적으로 저장되고, 이용자간 자금이체 기능을 통해서 지급결제가 이루어지는 화폐들을 말한답니다. 이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법정통화는 기존의 화폐와 동일한 교환비율로 적용 되며 가치 변동의 위험이 없습니다. 그래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의 발행은 일반 경제주체들의 자금의 편의를 증진시킬 것으로 예상되며, 새로운 금리체계의 형성 그리고 은행 예금의 감소 등등 통화정책의 유효성 그리고 금융 안정성등등 광범위한 영향을미칠것으로 보고있다.
환수 부분은 기존의 자산 긜고 잔액 또는 계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오히려 스텔라 네트워크에서 규제 자산을 발행 할수 잇는 새로운 기능성을 열어준다고 하죠. 프로토콜17로 네트워크를 업그레이드 하려면 검증인의 동의가 필요 했고 , 검증인은 원장에 트랜잭션 세트를 적용 하는데에 투표하고 동의 하는 것처럼 새 프로토콜 버전에 투표하고 이에 동의를 한다고 합니다. 향후에 는 자체 검증 노드를 권한 없이는 실행 할수가 있다는 것이죠 그리고 네트워크 거버넌스에 대한 부분도 있답니다.
>> 중요 부분은 자산 회수 라는 개념
개선 사항 부분(프로토콜 17 개선 : https://bit.ly/3NewXEy)
** 환수 가능 자산 발행자는 이 기능을 활용해서 다음을 수행할수 있습니다.
☆부정하게 취득한 자산을 회수
☆규제 조치에 대응
☆키 보관을 분실하거나 도난 당한 경우 신원이 증명된 사람이 자산을 복구 할수 있다.
환수는 기존 자산, 잔액 또는 계쩡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발행자는 발행할 때에 자산을 환수 가능으로 명확하게 지정합니다. 그리고 자산 보유자는 자산 보유에 동의할때에 해당 지정을 알고 있고, 말할 필요도 없이 XLM에 발행 계정이 없거나 필요 하지 않기 때문에 스텔라의 기본 네트워크 토큰에서 환수 활성화 할수 없다. 신뢰선 또한 자산회수는 소급 적용할 수 없으므로, 현재 네트워크에서는 존재하는 자산에는 영향을 지치지 않죠 오히려 환수는 새로운 종류의 발행자가 네트워크 에서 새로운 종류의 자산을 발행할수 있도록 합니다.
어려운 내용이지만, 하나하나 공부해본다면 좋은 지식이 될것같습니다 .
열충입니다.
반응형'PI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